-
선교사자녀와 TCK의 차이연구소 2023. 3. 9. 13:49
"선교사 자녀들이 경험하는‘잦은 이동 속에서의 타문화 경험’의 현장은 일반적인 타문화권이 아닌 ‘선교의 현장’이다. 선교사 자녀들은 선교의 현장 속에서 성장하며 ‘선교’를 위해 ‘선교지’로 이동하고, 타문화권에서‘선교적인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TCK 와 구별된 이들만의 독특한 특징이자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오준혁, 2020, "재입국 선교사 자녀 사역 방안 연구 교단 선교부 중심으로"지금까지 만난 논문 중에서 선교사자녀를 정의하는데 TCK와 간극을 정확히 설정한 건 오준혁님의 연구에서 처음인 듯 싶다. 물론 다른 논문에서 선교사자녀만의 특징을 진술한 건 있었지만, 한 눈에 들어오는 건 처음인듯. 아마도 본인이 경험한 삶에서 나온 진술이 아니었을까 싶다. TCK개념과의 다른 점은 이문화에서 "‘선교적인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진술에서 가장 이해가 빠르다. 그리고, 그 지점에서 경험의 이해가 차이를 나타내고, 결론 역시 다르게 도달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 "TCK의 하부집단"으로 선교사자녀를 두는 건 사회학적으로 오류가 있다. "TCK"두번째 버젼에서부터 룻 벤 레켄은 CCK(Cross Cultural Kids)의 하부에서 TCK를 다루고 있기에, TCK진술을 룻 벤 레켄의 주장에서 기원한다면 오준혁의 진술은 "CCK하부 집단에서 TCK와 MK의 차이"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물론 오준혁의 진술이 이해가 되는 건, 현재 우심 교수에서 비롯된 TCK 개념이 데이비드 폴락과 룻 벤 레켄에 의해 정교화되는 과정에서 현대 사회를 반영하는 부분에서의 혼돈, 정리되지 않은 측면 때문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TCK책을 1999년 초판본을 번역한 것이 2008년인데, 그 시기에는 원서는 두번째 개정판(2009년출간)이 출간준비중이었고, 언급된 CCK개념이 반영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CCK라는 개념은 이미 국제적 이주사회가 활발하게 이뤄졌을 뿐만 아니라 난민을 비롯해서 사회 통합적 측면에서 다루기엔 너무 협소한 개념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개인 자신을 설명하는 측면에서 한정적으로 다루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2015년부터 다문화교육학회에 참석하면서 Intercultural 과 Multicultural 개념이 충돌하는 상황을 발견하면서 사회 통합적 또는 사회학적 측면에서의 개인 또는 집단을 설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깨닫게 되었다. 비록 TCK개념을 학회 안에서 설명하려는 이들을 만나면서 사회학적 용어로 자리하려는 노력이 있고, 다문화적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교차문화 경험을 가진 이들을 대상으로 관찰하고 도왔던 일들이 있었음에도, 교육학/사회과학 안에서 TCK가 복잡한 현대 사회를 아우르기엔 한계가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 아마도 TCK개념이 등장하고 소비되는 여정이 사회통합적 측면보다 소수의 특수 문화적 경험자들을 이해하고, 돌보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성장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하나의 "문화적 집단"으로 보기보다는 교차문화를 경험한 개인들을 이해하는 용도에 유용할 것이다.
학문적으로 보자면, 심리 상담의 측면에서나 선교단체의 멤버케어 프로그램의 개발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회학적 부분, 즉 사회 구성과 통합/발달의 측면을 담고 있는 부분, 사회화, 재입국과 같은 측면에서는 집단의 성질을 구별하는데 무리가 있다. 그리고 선교사자녀는 종교적 특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다루는데 있어서 "국민의 종교 자유"라는 측면에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어쨌든, 선교사자녀를 진술할 때,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지에 따라 연구의 가치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에 따라서 TCK라는 개념을 검토하는 과정이 반영되었으면 좋겠다.
논문 찾기. 오준혁, "재입국 선교사 자녀 사역 방안 연구 교단 선교부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20.
The Third Culture Kids 책의 버젼 차이에 관해서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선교사자녀의 문식성, 그리고 대학 교육 경험 (0) 2023.04.07 리뷰] 선교사자녀의 선교지 외상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 (0) 2023.03.18 “2022한국선교통계”MK통계가 말하는 진실 (0) 2022.12.06 한국 선교사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의 다문화 교육적 고찰 (0) 2021.01.23 문화오감 네트워크 해외학교 교사 지원 프로그램 안내 (0) 2019.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