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리뷰] 선교사자녀의 선교지 외상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
    연구소 2023. 3. 18. 02:27
    그러나 다른 연구와는 다르게 선교사 자녀들의 외상적 스트레스의 큰 특징은 고립되고 피할 수 없는 해외 선교지 환경에서 외상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는 점 이다. 국내에서 외상을 경험한 경우에는 도움 요청할 기관이나 친인척이 존재하는 반면, 선교사 자녀는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을 하는 곳이 외국이기 때문에 가족이 나 친구들과 문제를 경험하면 피할 수 없다는 점이 다른 연구들과 차이를 보였다.
    한솔.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과 귀국  적응 과정 탐색."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89.

     

    선교사자녀 재입국 적응여정을 관찰한 연구로, 선정한 연구대상자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코딩 과정에서 부적응의 범주를 세밀화하고, 재적응 여정을 구체적으로 관찰하였다. 다른 연구들이 선교사자녀의 귀국 적응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써 신앙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다면, 연구는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최대한 도출하여 나열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선교사자녀의 선교현장에서 갖게된 경험들이 한국으로 재입국하면서 미치는 요인들을 나열하고, 크게 20가지 상하위범주를 선정하여 선교사자녀의 경험들과 연구자의 분석을 담았다

    연구자는 "선교지에서 경험한 사건들" 재입국과 삶의 여정에서 '적응' 미치는 연결고리를 찾고자 하였고, 8명의 연구대상자들의 국내 적응단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문화 변용 과정을위축 단계’, ‘갈등 단계’, ‘결단 단계’, ‘행동 단계’, ‘결실 단계 5단계 과정으로 분석하여 구분하였다.

    연구자는 선교사자녀의 외상적 스트레스를 경험한 재입국하여 국내 적응하는 단계를 다음과 같은 모델로 정리했다. 인과적 조건은현상 직접적인 사건과 변수를 의미하고, 중심현상에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조건이다. 중심현상은 맥락적 조건의 배경과 조건 속에서 인과조건으로 발생되는 반응들이다. 작용/상호작용은 현상을 다루는 선교사자녀 개인의 방식들이며, 중재적 조건은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변화시키는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마지막 결과는 일련의 현상들에 반응한 것의 결과를 의미한다.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 후 국내 적응 과정 패러다임 모형. (p.72)

    연구자는 이런 분석을 토대로 선교사자녀의 적응단계를 5가지, ’위축 단계’, ‘갈등 단계’, ‘결단 단계’, ‘행동 단계’, ‘결실 단계으로 분석하였다. 선교사자녀 모두가 선교현장에서 경험한 외상적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으며, 재입국하여 생활하는 과정에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고 진술했다. 이것이 소위, 위축과 갈등 단계이며, 범주에 있어서 신체, 행동, 인지, 정서적인 모든 범부에서부작용 발생했다고 관찰했다. 그러나 연구자는 참여자가 결단 단계에서 각각 다른 결정, 다른 길을 선택하였고, 적응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결단 단계는 한국 사회에 대한 거리두기 간격의 차이를 보여주었고, 행동단계에서 다른 마음가짐과 다른 목표 속에서 활동하여 결과를 맺은 것으로 정리했다.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 후 국내 적응 단계 (p.77)

    연구에서 연구자는 한국 사회에 적응한 선교사자녀들의 특징을부적응 양상 속에서 적극적 대처방식 취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힘을 키웠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여정의 전제가 되는 선교사자녀의 외상적 스트레스는 선교현장이 가진고립된’ ‘피할 없는물리적 정서적 현장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가졌다고 관찰했다. 그래서 선교사자녀가 외상을 경험한 이후에 그에 따른 도움을 받기 어렵고, 문제에 노출되고 방치된 시간들이 다른 성장기의 아이들보다 길다는 점을 주목한다. 결과, 재입국후 적응하는 과정에서과거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과 유사한 환경, 사람들을 피하고 과잉대처하는 모습 드러냈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쳤으며, 선교사자녀가 결단과 선택을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진술한다. 연구자는 선교지에서 외상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재입국하여 적응과정을 거치는 동안, 선교사자녀의  부적응 양상 속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에서 성장과 적응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았고, 선행연구들에서도 그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찾았다. 여기에는 선교사자녀 개개인의 귀국 준비성과 기대성 역시도 적응에 미치는데 영향을 주고있음을 첨언했다. 

    연구가 갖는 의의는 선교사자녀의 재입국 적응단계를 선교현장과 재입국후의 경험을 시간 흐름에 따라 6가지로 구분하여 모델화하고, 요인들을 설명했다는 점이다. 비록 모집단 규모가 작아 선교사자녀 전체의 경험을 대변하지 않지만, 그동안의 경험에 미루어볼 비슷한 경향성과 평가를 접했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선행연구와 면담이 치밀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할 있다. 아울러 선교사자녀들의 삶을 물리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서적이나 상황적 측면에서 고립되었다는 진술은 그동안 피상적으로 선교사자녀를 대하는 연구자의 태도가 진일보했다고 평가할 있다.

    논문찾기. 한솔.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과 귀국  적응 과정 탐색."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nd provide connections on the past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missionary kids from underdeveloped mission fields to the adaptation processes after returning to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co... T

    www.riss.kr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