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자녀
-
[2019 오감살롱]MK의 재입국은 TCK의 이동성으로 나타나는 과정세미나 2019. 3. 7. 20:44
"MK 재입국자들이 가진 정보들은 국내에서 성장한 동년배들보다 현저하게 적다는 점 뿐만 아니라 이를 도울 조력자 역시 부족하다." MK의 재입국은 TCK의 이동성으로 나타나는 과정이며, 모국 문화로 인한 역문화 충격과 재적응을 ‘정체성’에서 찾고 있다. …언어적응 과정, 교육환경, 친구관계, 문화 이동의 횟수, 부모 의 추방 경험, 가족의 건강 문제 …외상 경험의 반복은 그들을 ‘감춰진 이민자’(Hidden immigrants)로 살게 만든다. 기존의 진로, 진학 지도와는 다르게 이들의 미래를 함께 풀어갈 방법과 존재가 필요하다. 출처. 한국MK에 관한 한국 내 연구 동향과 고찰/ 방준범/신학저널 vol. 35/ 2018
-
[2019 오감살롱]선교사자녀 연구 주제와 흐름을 살펴보면...세미나 2019. 2. 28. 21:22
선교사자녀 연구 주제와 흐름을 살펴보자면...주제별로 교육, 선교 심리 상담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 심리상담은 증가했지만 선교는 줄어든 모양새입니다. 그 원인으로는 초기 연구가 개론적이었다면 점차 전문화되었고, 선교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정체되었거나 줄어들었습니다. 교육 영역에서 보면 홈스쿨 관련 글이 초기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다뤄지는 주제지만 그 연구 내용에서는 큰 진전이 없고, 실용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선교적 측면에서는 교육자들의 선교적 접근과 MK 재입국과 연관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MK사역의 접근에 거시적인 측면은 점차 힘을 잃고 있습니다. 심리상담 영역에서는 TCK/MK 정체성 논의 중심으로 선교적, 교육적 상담 차원으로 접근하는 발판을 ..
-
살롱을 시작합니다. 한국선교사자녀연구동향고찰과 길을찾는문화오감세미나 2019. 2. 15. 22:23
안녕하세요, 문화오감센터 활동연구가 방준범 인사드립니다. 오래전부터 한국내 선교사자녀 사역에 담긴 메세지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던 가운데, 대학원 과정을 시작하면서, MK사역자 네트워크 총무를 사임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연구현장 “문화오감센터”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문화오감센터는 ‘문화를 오고 가는 이’들의 삶을 "이해"하고, “함께” 할 수 있는 매개가 되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MK사역자 네트워크를 통해 배웠던 "연대"의 정신을 잇고, 해외에서 성장하는 재외한국인 자녀들이 한국과 미래를 함께 걸어갈 수 있도록 현장 교육을 시작했습니다. 또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자료를 발굴, 수집, 갱신하는 "연구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이제 그 하나의 장(場)을 열고자 합니다. 연구자들과 ..
-
8호 소식 탄자니아 보고ICTRC_letters 2019. 2. 12. 11:23
“새 포도주는 새 가죽 부대에(눅 5:38)” 2019 재외국민자녀, 길을 찾다 TCF 탄자니아 MK CAMP 학습캠프를 생각하면서, 떠오른 말씀이 “새 포도주는 새 가죽 부대에 넣어야 한다.”(눅 5:37-39) 입니다. 포도주의 성질인 “새”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것을 뜻하는 ‘네온’이, 가죽부대를 설명하는 “새”는 질적으로 다르고, 생소하다는 뜻의 ‘카이노스’가 사용되었습니다. 누가는 이방인의 구원자되신 예수님을 선언하며, 사도행전을 통해서 구원을 위해 유대인이 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명확하게 합니다. 새 포도주와 새 가죽 부대는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복음의 역동성과 교회 공동체의 변화를 지적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지요. 저는 교회 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 현실 속에서 복음의 역동성을..
-
“한국MK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고찰”-1 한국 MK 연구 대상 분석연구소 2018. 7. 21. 21:44
많은 연구들이 학령기의 선교사자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50%의 연구가 학령기에 집중한 것은 한국 선교의 시기적인 부분과 관련있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연구에서 언급했듯이 대학생과 성인연구가 2000년대 중반부터 등장했는데, 선교사들의 파송 시기와 인원과 관련되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선교사들의 수가 90년대를 지나면서 급증했습니다. 김한성 교수는 ‘선교의 도약기’로 이를 정의합니다. 그리고 초교파 국제 선교단체 파송 선교사들이 본격적으로 나타난 시기로 분석합니다. 이런 배경에서 서구 선교기관들은 비서구 선교사자녀들의 급증을 몸소 경험했고, 그에 따른 도전을 직면하게 되어 한국선교사자녀에 대한 논의와 대책을 요청합니다. 그 결과 1993년에 한국 선교사자녀 교육 컨설테이션이 있었고, 1..
-
책 TCK 간단리뷰01. Third Culture Kids(TCK) 3차 개정판은 TCK의 특징에 어떤 변화를 다루고 있나?연구소 2018. 7. 17. 12:48
얼마전 "제 3문화 아이들"로 번역된 "Third Culture Kids"가 2017년 개정판을 내었습니다. 이 책은 해외에 세워진 국제학교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고, 학생들이 모국으로 돌아가는 과정들을 지원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초판은 1999년에 출간되었는데, TCK에 대한 개념이 대중화(?)된 계기로 볼 수 있겠죠. 그 이전에는 데이브와 루스의 강연에서 나눠준 노트와 기고문, 그리고 단체들의 프로그램들이 TCK를 설명했습니다.(개정 부분은 간단하게 아래에서 다루었습니다.)개정판에 대한 소식을 꽤 들었지만 작년에 한국 MK Summit에서 처음 실물을 봤습니다. (물론 구매하지는 않았습니다. 영어원서라서요.) 다만 궁금함은 있었는데 얼마전 아는 선생님께서 툭 던져주셔서 궁금함에 못이겨 열어보았습니다...
-
다문화주의와 TCK 관계연구소 2018. 7. 16. 10:26
다문화주의를 설명하는 그림(출처: 모두 다문화야!/최영민/풀빛/2018)입니다. 다문화주의는 고전적으로 미국같은 국가/민족별 이민사회를 설명하는 것으로 문화적 동등성을 배경으로 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미국은 백인(앵글로 색슨), 기독교(개신교)가 전체의 문화를 상징하고 기준하는 주도성(엄밀히 말하면 기준성)이 됩니다. 그러니까 미국 다문화주의는 동화주의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내 상류 계층은 철저히 혈통과 배제를 근거로 합니다. 또 동화주의를 대표하는 프랑스는 사실 세속국가를 실현하는데 소위 신성로마제국, 카놋사의 굴욕, 아비뇽 유수에 이르는 종교와 왕권의 갈등, 이후 100년전쟁을 통한 절대 왕정의 형성을 배경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세속국가화는 종교와 절대왕권으로부터의 자유..
-
2018 탄자니아 MK 학습캠프 보고서세미나 2018. 1. 20. 19:57
“2018 재외국민자녀, 길을 찾다” TCF 탄자니아 MK CAMP“딱, 목사님이에요.” 지난해 11월 18일, 탄자니아 MK CAMP를 준비하시던 선생님께서 던진 말이었습니다. 포항지진 여파로 수능시험과 대학입시 일정이 한 주 미뤄지는 바로 그 시기에, 캠프에 필요한 진로교육에관한 이야기를 나누던 가운데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지난 12월 30일부터 1월 10일까지 탄자니아 아루샤에서 선교사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습니다. TCF 학습캠프 팀에 합류한 문화오감센터는 한 달 넘는 시간을 함께 준비하여 MK들에게 필요한 ‘진로’ 영역으로 캠프를 섬길 수 있었습니다. 별문화오감센터는 선교사님들과 타국에서의 자녀 양육에 관한 주제로 세 번의 만남을 가졌고, 진로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과는 자기 자신..